네트워크 공부 & 실습/네트워크 실습

[리눅스] 무선 네트워크 연결 시도하기 - 2

강_토발즈 2025. 1. 30. 23:54

https://cs-study1.tistory.com/60

 

[리눅스] 무선 네트워크 연결하기 - 1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고, 드라이버를 다운받고 설치하기 위해 먼저 유선 인터넷을 연결해주었다.유선 인터넷으로 - 패키지 매니져 업데이트,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드

cs-study1.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2010년 사용하던 넷북에 설치된 리눅스를 가지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고, 유선연결을 하여 패키지 매니져 설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 설치 완료를 했고,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WIFI 를 검색하고 연결까지 시도 하였으나 연결에 실패했다. 연결 실패의 이유로 WEP 오류. 즉 보안 관련 오류가 의심되어, 이 설정부터 변경해보기로 한다.

 

1. WEP 란? 

  • WEP(Wired Equivalent Privacy)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의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초기 보안 프로토콜.

  • 주요 특징
    - WEP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보호.(RC4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
    - WEP 키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40비트(10자리 헥사) 또는 104비트(26자리 헥사)로 설정되는데 이는 WEP의 보안성을 제한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WEP는 유선 네트워크와 동등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됨.

  • 보안 취약점
    - WEP는 고정된 키를 사용하므로, 키가 노출될 경우 모든 통신이 해킹당할 위험이 있는데,  키를 자주 변경하는 것이 어렵다.
    - WEP의 암호화 방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취약점이 발견되어, 해커들이 쉽게 키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는 보안성을 크게 저하시킴.
    - WEP는 동일한 키를 여러 번 사용하기 때문에, 패킷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키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 현재 상황
    위와 같은 취약점으로 인해 WEP는 더 이상 안전한 보안 방식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현재는 WPA(Wi-Fi Protected Access) 또는 WPA2와 같은 더 안전한 보안 프로토콜이 권장되고 있다. WPA/WPA2는 더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과 동적 키 관리를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2. 현재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 프로토콜 확인하기

라우터 설정 페이지에 접근하여 현재 사용 중인 무선 네트워크가 어떤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 중인지 확인해본다.

라우터 설정 페이지에 접근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

 

https://cs-study1.tistory.com/33

 

[포트포워딩] 로컬에서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다른 기기로 접속하기-2

어제는 간단하게 무선 네트워크(Wi-Fi)로 연결된 두 노트북을 가지고 실행중인 SpringBoot 프로젝트의 페이지에 접속해 봤는데, 무선 연결된 노트북에, 유선 으로 연결되어있는 데스크톱에서는 내

cs-study1.tistory.com

 

 

라우터 설정 페이지에서 확인해보니 현재 사용 중인 무선 네트워크는 WPA2-PSK 프로토콜을 사용 중 이였다.

WPA2는  Wi-Fi Protected Access 2의 약자로, WPA의 개선된 버전이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무선 보안 프로토콜이다.
또 PSK는 Pre-Shared Key의 약자로, 사전에 공유된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장치 간의 인증을 수행 즉, 모든 클라이언트 장치는 동일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방식이다.

 

3. 넷북에 장착된 NIC 가 사용하는 보안 프로토콜 확인하기

lspci | grep -i network

 

위 명령어로, 메인보드 PCI 슬롯에 장착된 기기를 검색한다. (grep 를 통해 network 가 포함된 검색어를 출력한다)

 

 


Wireless LAN Controller 로 RTL8192E/RTL8192SE 라는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검색해 보니 이런 장치가 넷북 PCI 슬롯에 장착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해주고 있었구나를 알게 되었다.

공식 메뉴얼을 찾기 힘들어 GTP 선생님께 해당 NIC가 WPA2 보안 프로토콜이 사용가능한지 물어봤더니

사용 가능하다고 알려주었다!!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무선 연결 설정하기

 

일단 이전에 시도해본 방법을 다시 시도해본다.

먼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고,

무선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들을 검색한다.

sudo ifconfig wlan0 up

 

어제와는 다르게 ip a 로 상태를 확인해보니 wlan0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UP 으로 나왔다!!!

어제 사용한 sudo ip link set wlan0 up 으로는 상태 변경이 되지 않았는데 이번엔 느낌이 온다

sudo iwlist wlan0 scan | less

 

 

무선 네트워크들이 검색된다.

현재 집에서 사용 중인 네트워크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자세히 보니 와이파이의 이름이 모두 대문자가 아니라 WIFI -> WiFi 였다...

sudo iwconfig wlan0 essid "SK_WiFiGIGA144A" key s:*************

 

아이피 할당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sudo dhclient wlan0

 

생각보다 긴 시간(5분 정도 걸림) 이 걸리고 다시 명령 프롬프트로 돌아왔다.

ip a 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니, 아이피가 할당되지 않았다.

왜 아이피가 할당이 되지 않는지 이유를 분석하여 하나씩 다시 살펴봐야겠다.

일단 보안 프로토콜의 문제는 아니고, 내 라우터의 DHCP 서버도 잘 동작 중 인데, 넷북의 MAC 주소가 보이질 않는다.

 

따라서

  • 신호 강도 확인
  • DHCP 요청 재시도
  • 라우터 확인
  • IP 주소 범위 확인
  • 방화벽 설정
  • 로그 추가 확인
  • 수동 IP 주소 할당

의 방법들을 시도해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