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공부 & 실습/네트워크 이론

[Network] Broadcast Storm

객체사냥꾼 2025. 3. 17. 22:18

1.개념

브로드캐스트 스톰(Broadcast Storm)은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과도하게 전송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완전히 마비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스톰은 루프, 잘못된 구성, 장치 장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STP 및 VLAN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2.주요 특징

  •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과다 전송
    브로드캐스트 스톰은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가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과도하게 전송될 때 발생한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대역폭이 소모되고, 다른 트래픽이 영향을 받는다.

  • 성능 저하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네트워크를 가득 채우면, 정상적인 데이터 패킷이 전달되지 못하고 지연되거나 손실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된다.

  • 네트워크 마비
    심각한 경우 브로드캐스트 스톰은 네트워크를 완전히 마비시킬 수 있다. 모든 장치가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처리하느라 자원을 소모하게 되어, 네트워크가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3. 원인

  • 루프
    네트워크에서 스위치 간의 루프가 발생하면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계속 순환하게 된다. 이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과 같은 루프 방지 메커니즘이 없거나 제대로 구성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다.

  • 잘못된 구성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의 잘못된 설정이나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해 과도한 브로드캐스트가 발생할 수 있다.

  • 디바이스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고장이나 불안정성으로 인해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4. 예방 및 대응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사용
    스위치 간의 루프를 방지하기 위해 STP를 구성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인다.
    (다음 공부 주제!!)
  • 브로드캐스트 제한
    VLAN을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할하고,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을 제한한다.
  • 모니터링 및 관리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