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공부 & 실습/네트워크 실습

💻 [리눅스] USB 연결하여 마운트 하기

객체사냥꾼 2025. 1. 27. 22:10

 

2010년에 사용하던 넷북(?) 을 얻게되어, 리눅스 실습용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메모리 용량은 넉넉했지만 (무려 100GB 이상), Intel Atom N450 CPU ,램이 1GB 여서, GUI 가 있는 리눅스 버젼 말고, 순전히 CLI 만 지원하는 서버용 리눅스를 설치해서 공부한 것을 실습해보기로 한다.

(Ubuntu Server 18.04 LTS 를 설치하였다.)

 

넷북이 무선 네트워크 카드가 있기 때문에, 리눅스 패키지 관리를 하려고 했으나,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아 SpringBoot의 jar 파일과 같은 실험용 프로그램들을 옮기기 위해, 먼저 UBS 를 마운트 하는 법을 실습해보기로 한다.

무선 네트워크 설정은 다음에 하면 되겠다! ( NIC 는 인식함!)

 

1. 적당한 USB를 찾아, 접근이 정상적으로 될 경우 볼 수 있는 폴더들을 생성해준다.

식상하지만 간단한 파일 이름들

 

2. 서버용 리눅스 넷북 Turn On &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해주면 명령 프롬프트가 활성화 된다.
CPU 와 RAM 이 좀 딸리긴 해도, CLI 라 그런지 뭔가 빠릿빠릿하다는 착각이 든다.

 

 

2. USB 삽입

 

USB 만 삽입 했는데, 갑자기 명령줄에 뭔가 반응이 왔다.
아....아.... 이것이 리눅스의 P&P 인가...

 

3. 넷북에서 USB 장치 확인하기

lsblk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외부 저장장치를 인식했는지 확인한다. 

 

 

sdb 의 sdb1 으로 14.7GB의 USB 가 인식되고 있다.
이제 USB를 마운트 할 폴더를 먼저 만들어주고 마운트를 진행한다. 

sudo mkdir /mnt/usb

 

sudo mount /dev/sdb1 /mnt/usb

 

명령어는 sudo mount 마운트 할 USB 경로 마운트 될 로컬 경로

 

4. 로컬 경로로 실제 USB 의 폴더가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한다.

 

미리 만들어 놓았던 hello 와 thisIsMyUsb 폴더들이 보인다.

마운트가 성공했다.
이제 USB에 필요한 파일들을 넣고, 넷북으로 옮길 수 있다.

 

5. USB 를 빼고 usb 폴더에 접근 해 보았다.

 

해당 경로로 접근할 수 없다. 

 

물리적 방법으로 파일을 옮기고 전송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다음에는 유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패키지 매니져를 업데이트 하고,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하도록 해야겠다